GPS란 무엇일까?
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, 한국말로는 "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"이라 한다.
GPS는 미국 국방부에서 미사일을 정확하게 폭격하기 위해 군사용으로 처음 개발되었지만,
현재는 무기유도, 항법, 측량, 지도제작, 측지, 시각동기 등의 군용 및 민간용 목적으로도 개발되며 여러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.
GPS에서는 중궤도를 도는 24개(실제는 그 이상)의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마이크로파를 GPS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벡터를 결정한다고 한다.
<지구의 어디서나 충분한 개수의 GPS위성이 수신됨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(출처 : 위키백과)>
GPS수신기는 네 개 이상의 GPS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, 위성가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.
위성에서 수신된 신호와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하면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데,
이때 송신된 신호에는 위성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기에 이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.
시간이 중요한 만큼 GPS위성안에는 세슘이라는 물질을 품은 정밀한 원자시계가 들어있게 되는데, 이 시계는 아주 정밀해 십만년 동안 1초 정도의 오차를 갖게 된다.
내가 실험하고 있는 드론 시스템에는 HERE+ RTK GNSS라는 GPS수신기를 사용한다.
아래의 GNSS수신기는 Proficnc.com 이라는 사이트에서 720$에 구매할 수 있는데,
자율주행 드론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만큼 조금 비싸다.
HERE+ RTK GNSS는 위와 같이 구성이 되는데, 컴퓨터에 연결하여 GCS(Ground Control System)에서 사용하는 Ground Station GPS와 Ground Station GPS's external antenna 와 기체(드론,Drone)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Vehicle GPS로 구성이 되어있다.
이 HERE + RTK GNSS모듈과 컴퓨터를 연결하여 GPS값을 받아오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작성을 하겠다.
'Drone_Study > What_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ensorflow with Airsim __ Tensorflow를 활용한 Airsim (0) | 2018.03.06 |
---|---|
What is Airsim?__Airsim은 무엇인가? (0) | 2017.12.19 |
What is dronecode?__Dronecode는 무엇인가... (0) | 2017.11.13 |
What is dji Lightbridge?__dji Lightbridge는 무엇인가... (0) | 2017.11.10 |
What is Pixhawk?__Pixhawk란 무엇인가... (0) | 2017.11.10 |